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정보보안기사정리
- 정량적위험분석법
- 보안관제처음
- 보안관제우선순위
- 보안관제로처음
- 보안기사정리
- 중소기업꿀팁
- 정보보호거버넌스
- 보안기사위험처리
- 내일채움배움공제
- 중소기업보안관제
- 파견관제
- 위험의구성요소
- 정보보안기사위험
- 보안기사위험의구성요소
- 원격관제
- 보안관제
- 2020보안기사
- 정성적위험분석법
- 정보보안기사위험처리
- 정성적분석법
- 정량적분석법
- 중소기업혜택
- kisa아카데미
- 키사아카데미
- 2020정보보안기사
- k-shield
- 정보보안기사위험의구성
- vmware gns
- 보안관제중소기업
- Today
- Total
IT보안타파
정보보호 위험 관리 본문
정의
- 위험으로부터 자산을 보고하기 위해 비용 대비 효과적인 보호대책을 마련하는 것
1. 위험의 구성 요소
- 그림으로 이해하기

2. 위험분석 방법론
1) 기준 접근법
- 체크리스트 형태로 현재 구현되어 있는 것부터 파악하여 없는 것 구현
- 소규모 조직에 적합
2) 비정형화된 접근법
- 위험 분석을 개인의 지식과 전문성 활용
- 위험 분석 실시하는 전문가는 내부 전문가 일 수도 외부 컨설턴트 일 수도 있다.
- 중소규모 조직
* 장점
- 개인의 지식과 전문성을 활용하기에 빠르고 비용이 적게 든다.
* 단점
- 일부 위험들은 취약한 상태로 방치될 수 있다(why? 개인의 주관적인 방법때문에)
3) 상세위험분석
- 정형화되고 구조화된 프로세스
- 조직의 자산을 파악하고, 조직의 가치 및 중요도 산출 (정량적, 정성적 위험분석)
* 장점
- 가장 상세하게 분석
* 단점
- 시간, 자원, 분석 수행에 대한 비용이 많이 듦.
4) 통합된 접근법
- 고위험 영역 식별하여 상세위험분석 실시, 나머지 영역 기준 접근법 시행
* 장점
- 위험평가의 유연성을 가짐
* 단점
- 고위험 영역을 잘못 식별할 경우, 비용 낭비 및 잘못된 대응이 있을 수 있음.
- 기준 접근법 시행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 일정시간 취약한 상태로 방치
* 정량적 위험분석 (외우기 쉽게 수량)
- 금전적 가치, 숫자값 부여(객관적), 수학적 접근
1. 자동위험분석방식
- 모든 데이터 수집 및 결과값 자동살출도구 이용
2. 정량적 위험분석의 단계
1) 자산에 대한 가치 결정
2) 잠재적손실계산
- 노출계수(%)
- SLE(한번 발생한 침해로 인한 손실액) = 자산가치 x 노출계수
3) 연간 위협 발생률
- ARO
4) ALE(개별 위협마다 전체 손실액) = ARO x SLE
3. 분석법 종류 (과거에 수학공식 중 확률을 공부했으나, 점수 꼴지)
1) 과거자료분석법
- 과거 자료를 바탕으로 미래에 발생할 사건을 예측하는 방법, 과거자료가 많을 수록 정확도 높아짐.
- 과거 자료 중 발생 빈도가 낮은 자료는 적용이 어려움.
2) 수학공식 접근법
- 위협의 발생 빈도를 계산하는 식을 이용하여 위험 수치를 확인하는 방법. 위험을 정량화하여 간결하게 볼 수 있음.
- 기대 손실 자료 양이 적음
3) 확률 분포법
- 확률 편차를 이용하여 최저, 보통, 최고 등급으로 위험 분석 예층
- 잘 안맞음
4) 점수법
- 위험 발생 요인에 집중하여 위험 예측하는 방법.
- 소요시간 적고, 분석 빠르나, 정확성 떨어짐.
* 정성적 위험분석 (정성들여서 사람이 분석)
- 판단, 직관, 경험토대로 진행(주관적)
1. 분석법 종류 (영화 타짜 모여서 시나리오쓰고있네 대사기억하며, 순위잡는 화투)
1) 델파이법
- 전문가 집단이 모여 토론으로 위험 분석 및 평가
- 지식과 토론으로만 위협요소 추정으로 정확도 낮음
2) 시나리오법
- 어떤 사건도 기대대로 일어나지않는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일정 조건 하에 위협이 발생할 가능성을 측정
- 이론적인 추측이며, 정확성 떨어짐
3) 순위결정법
- 위협의 우선순위 결정
- 소요시간 및 분석량 적음, 정확성 낮음
4) 퍼지 행렬법
- 자산 가치의 크고 적음을 화폐가치로 표현, 위협발생확률의 높고 낮음을 수학적으로 계산
3. 위험처리
1) 위험 수용
- 위험을 받아들이고 수용함. 손실비용 감수
2) 위험 감소
- 위험결과를 줄이거나, 발생가능한 위험을 낮추는 대책
3) 위험 전가
- 제3자에게 전가(보험이나, 다른기관과 계약)
4) 위험 회피
- 위험이 존재하는 사업을 포기하거나, 위험이 실현되지 않게 함
'정보보안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보보안기사 - 정보보호거버넌스(간략정리) (0) | 2020.04.10 |
---|